가장 혁신적인 프로젝트에 한 표를 던지세요!
창의적이고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담은 TOP 10
서울디자인어워드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창출하는 데 기여하는 디자인 프로젝트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지난해보다 더 많은 국가에서, 더 많은 작품들이 접수되었어요. 전 세계 곳곳의 디자이너들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프로젝트들을 제출해 주셨는데요.
사람과 사회, 환경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지향하며 지속가능한 일상을 만드는 프로젝트 총 10개를 선정했습니다. TOP 10에 선정된 작품들 중, 가장 많은 시민들의 선택을 받은 작품에는 ‘글로벌 시민상’이 추가로 주어집니다. 투표에 참여하면 각 프로젝트의 사회적 영향력을 평가하고, 혁신적인 프로젝트를 직접 선정할 수 있죠. 여러분의 선택이 수상자를 결정합니다. 미래를 바꿀 디자인에 투표해 보세요! |
|
|
🗳️ 글로벌 시민상 투표 방법
- 투표 기간 : 2024. 10. 4. (금) - 10. 27. (일)
- 투표 방법 : 온라인 투표 및 오프라인 전시장 현장 투표(QR코드 통합 홈페이지 유입) 동시 진행
- 결과 발표 : 온라인 발표
|
|
|
✨ 서울디자인어워드 2024가 선정한 상위 10팀
서울디자인어워드 2024는 접수된 수백 개의 프로젝트 중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한 TOP 10 프로젝트를 공개합니다!
1. 커낼 파크(Canal Park) ⎮ 버려진 고대 수로에 피어난 새로운 공원
128 건축 & 도시 디자인 128 architecture & urban design
@멕시코 |
|
|
수 세기 동안 방치된 옛 수로의 공간을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선형 공원으로 재탄생시켰다. 옛 수로의 지형을 활용하고 기존의 도로를 살려 인근 지역을 연결시켰다. 또한 수목을 심고 재생 에너지를 활용해 지속 가능한 환경 시스템으로 개선시켜 지역민들이 서로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2. 차키 와시 수공예센터(Chaki Wasi, Handicraft Center) ⎮ 지역 사회의 힘으로 전통을 되살리는 원주민 수공예 센터
라 카비나 데 라 쿠리오시다드 La Cabina de la Curiosidad
@에콰도르, 프랑스
|
|
|
지역 사회의 힘과 현지 재료를 활용해 세운 샬랄라 원주민 마을의 현대적 토착 건축물이다. 수공예 센터 '차키 와시’는 강돌과 유칼립투스 나무를 사용해 짚으로 만든 초가집으로, 안데스 문화를 대표한다. 전통적인 건축 기술과 문화를 보존하고, 지역 사회의 협력을 통해 공동 작업과 문화 전승을 촉진한다. 이를 통해 관광 수익을 창출해 주민들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했다.
3. 클라쎄 루즈(Classe rouge) ⎮ 현지 재료로 저렴하고 빠르게 복제 가능한 교실
ACTA - Action through architecture
@니제르, 이탈리아
|
|
|
사헬 지역의 학교 교육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교실 모델이다. 현지 자재를 활용해 비용은 줄이고 열 효율성을 높였으며, 이동식 거푸집 시스템으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했다. 전문 인력 없이도 광범위한 지역에서 복제 가능한 이 모델은 니제르에 부족한 교육 인프라 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으로 제안되었다.
4.아이라이크 플랫폼(EYELIKE PLATFORM) ⎮ 실명을 예방하는 이동식 안구 검사 기기
랩에스디 LABSD, INC
@인도, 대한민국
|
|
|
아이라이크는 저소득 지역과 자원이 부족한 지역의 실명 예방과 눈 건강 증진을 돕는 플랫폼이다. 스마트폰을 업사이클링한 휴대용 디지털 검안기와 웹 기반 대시보드, AI 진단 시스템을 통해 지역 의료진이 신속하게 안과 검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온라인 기부 모듈을 통해 전 세계의 기부자와 연결시켜 지속적인 지원 생태계를 구축한다.
5. 등대와 부표: 치매 친화적 마을(Lighthouse & Buoys: Dementia Friendly Neighbourhood) ⎮ 치매 환자들도 잊을 수 없는 공간 디자인
싱가포르 기술 디자인 대학교 사회 도시 연구소 SUTD Social Urban Lab(SOULab)
@싱가포르
|
|
|
이 프로젝트는 치매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간병인의 부담을 줄이는 포용적이고 치매 친화적인 도시 공간을 구현한다. 치매 환자와 간병인의 요구 사항을 바탕으로 '등대'와 '부표' 개념을 활용하여 기억에 남고 접근 가능한 공간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이는 제한적인 야외 환경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해 치매 환자들의 사회적 교류와 신체 활동을 지원한다.
6. 모 데 모비미엔토(Mo de Movimiento) ⎮ 건축부터 운영까지 지속 가능한 레스토랑
루카스 무뇨즈 무뇨즈 Lucas Muñoz Muñoz
@스페인
|
|
|
모 데 모비미엔토는 건축부터 운영까지 환경을 고려한 방법을 선택해 주목받은 스페인의 레스토랑이다. 현장에서 확보한 자재를 사용했고, 테라코타 기반의 혁신적인 공기 냉각 시스템을 도입했다. 또한 사회적 배제 위험에 처한 청년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협회와 협력하여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자 했다. 자재 재활용과 지속 가능한 에너지 사용을 통해 환경 발자국을 줄이고, 현대적인 건축 방식을 재조명하여 지속 가능한 건축 설계 모델을 제시한다.
7. 프록시어드레스(ProxyAddress) ⎮ 노숙자에게 주소를 제공하는 희망의 솔루션
크리스 힐드리 Chris Hildrey
@영국
|
|
|
노숙자들에게 비어있는 주소를 제공하여 필수 서비스와 지원 혜택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이다. 이 주소를 통해 구직, 수당, 은행 계좌 개설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제공하는 주소는 사용하지 않는 기존 주소를 활용하며, 보안 시스템을 구축해 안정성도 보장한다. 파일럿 프로젝트에 참여한 96%가 6개월 이내에 노숙에서 벗어났다. 이 프로젝트는 다양한 협의체와 협력하여 지속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해 장기적인 사회 변화를 촉진시키고자 한다.
8. 스카이블록스 공동생활 주택(Skyblox Co-Living Housing) ⎮ 단시간 저비용의 도시 속 신개념 공동 주거 공간
TKCA 건축 스튜디오 TKCA Architects
@말레이시아
|
|
|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과 커뮤니티 참여를 장려하며 포용적인 공동생활 주택을 통해 도시 생활을 재정의하는 프로젝트이다. 도시에서 발생하는 주택 접근성 부족과 높은 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PVC(조립식 사전마감 형체 제작) 기술과 친환경 자재를 통해 저렴한 가격에 고품질의 주택을 제공한다. 그리고 개방적인 공동체 공간을 통해 사회적 결속을 강화하고 도시 재생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9. 솔라카우 & 아얀투(Solar Cow & AYANTU) ⎮ 교육과 에너지, 아프리카 농촌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한 제품 & 서비스 디자인
요크 YOLK
@에티오피아, 대한민국
|
|
|
재생에너지를 학교에 보급하여 자녀를 학교에 보내도록 유도하고, 아동 노동 문제를 줄이는 혁신적인 프로젝트이다. 학교에서 태양광 충전 배터리 ‘솔라밀크’를 제공하고, 아이들은 이를 가정으로 가져가 조명으로 사용하게 했다. 에너지 부족 문제를 해결해 부모가 자녀를 학교에 보내도록 유도하여 빈곤의 악순환을 끊는데 기여했고, 교육 접근성 부족 문제도 동시에 해결한다.
10. 부레옥잠 수상 텃밭(Water Hyacinth Floating Garden) ⎮ 수상 마을에게 경제적 자립을 제공한 수상 텃밭 공간 솔루션
AC/AL 스튜디오 AC/AL studio
@캄보디아
|
|
|
부레옥잠을 활용한 수상 텃밭 프로젝트는 캄보디아 프렉 톨 수상 마을 주민들에게 자립적인 식량 생산 방법을 제공하며, 식량 안보와 경제적 자립을 증진하는 혁신적 솔루션이다. 프렉 톨 마을의 주민들은 과일과 채소를 비싼 가격에 구매해야 하는 문제와 에너지와 식량 접근성이 부족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 프로젝트는 부레옥잠을 활용한 수경 재배법을 통해 채소와 과일을 직접 재배하며 비싼 수입품에 의존했던 식량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적 자립을 증진하고자 했다. |
|
|
👀 가까이에서 만나는 서울 디자인 어워드 TOP 10
서울디자인어워드 2024의 수상작을 전시를 통해 만나 보세요. TOP 10 프로젝트를 포함해 다양한 지속 가능한 디자인 사례들이 공개되며, 시민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이벤트도 함께 진행될 예정입니다. 전시는 서울디자인2024 기간 동안 DDP(잔디사랑방, 마켓, 매거진 라이브러리), 명동에 위치한 온드림 소사이어티에서 이루어집니다.
▶︎ 서울디자인어워드 TOP 10 전시 안내
📍 DDP 잔디사랑방
⎮2024. 10. 17. (목) - 10. 27. (일)
휴식 라운지에서 UD 영화와 지난 수상작들, TOP 10 영상을 살펴보며 특별한 시간을 즐길 수 있는 공간입니다.
📍 DDP마켓
⎮2024. 10. 17. (목) - 10. 27. (일)
디자인을 만나는 활기찬 공간. 이곳에서 시민상에 투표하고 기념품(명함 지갑, 엽서)까지 받아 가세요.
📍 DDP 매거진 라이브러리
⎮2024. 10. 17. (목) - 상설전시
TOP 10 프로젝트 전시와 디자인 어워드의 가치가 담긴 콘텐츠로 어워드를 더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는 공간이에요.
📍 온드림 소사이어티
⎮2024. 10. 11. (금) - 10. 16. (수) 평일 9:00 - 19:00 / 주말 10:00 - 19:00
온드림 소사이어티는 미래 인재를 육성하고 미래 세대와 함께 환경 관련 사회문제를 창의적, 혁신적으로 해결하는 커뮤니티 기반의 플랫폼으로 현대차 정몽구 재단의 첫 공간 플랫폼입니다. DDP를 벗어난 공간에서 열리는 ‘찾아가는’ 디자인 어워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을 제시하는 온드림 소사이어티와 협력한 특별 전시를 만나보세요.
👉 온드림 소사이어티 홈페이지 바로가기 |
|
|
10월 25일, 서울디자인어워드 2024 Day가 열려요.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영광의 수상자를 만나고 싶다면?
서울디자인어워드 2024 Day 현장에 함께해 보세요! |
|
|
Seoul Design Award, For Sustainable Life,
|
|
|
|
|